📰 2025 보험사기 집중 홍보 캠페인 총정리 – 오징어게임 패러디부터 카카오 배너까지
🚨 보험사기, 방치하면 모두가 피해자가 됩니다
최근 몇 년 사이 보험사기로 인한 국민 피해 규모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보험사기는 단순한 ‘꼼수’가 아니라, 법으로 처벌받는 범죄입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금융감독원과 생명·손해보험협회가 함께
전국민 대상 보험사기 예방을 위한 대규모 홍보 캠페인을 본격 추진합니다.
📈 보험사기 적발 금액 추이
- 2021년: 9,434억 원
- 2022년: 10,818억 원
- 2023년: 11,164억 원
- 2024년: 11,502억 원
👉 보험사기 피해는 곧 선량한 가입자의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지며, 우리 모두의 삶에 영향을 줍니다.
📢 [7~12월 집중 운영] 보험사기 예방 캠페인 핵심 콘텐츠
🎬 1. 오징어게임 패러디 숏폼 영상 (7월 17일 공개 예정)
- 인기 OTT 콘텐츠 ‘오징어게임’을 패러디해 유튜브 쇼츠(Shorts)로 제작
- 보험사기의 유혹을 게임처럼 풀어내며 젊은 세대에 직관적 메시지 전달
- 실사 배우 출연 예정, 15초~30초 숏폼 영상으로 온라인 확산 유도
🎯 목표: MZ세대를 중심으로 **“보험사기는 명백한 범죄”**라는 인식 확산
🚌 2. 서울 핵심 버스정류장 스크린 광고 (7월 7일 ~ 8월 6일)
- 광화문, 강남, 이태원, 신논현, 사당, 역삼 등 15개 거점 정류장 집중 홍보
- 월 이용자 수 100만 명 이상 유동인구 기반 지역 선정
- 시각적 충격과 간결한 메시지로 보험사기 경각심 고취
💡 참고: 2025년 7월 1일부터는 의료인·설계사 보험사기 가중처벌 양형기준 적용
→ 최대 무기징역까지 처벌 가능
💬 3. 카카오톡 배너 광고 (7월 21일 ~ 8월 20일)
- 카카오톡 메인 및 뉴스탭 배너 활용
- 사용자 친화적 UI로 ‘보험사기 유도’ 상황 인식 콘텐츠 제공
- 클릭 시 보험사기 예방법, 신고 방법, 실제 사례 안내
📅 향후 홍보 계획 요약
시기 | 홍보 내용 |
7월 중순 | 자동차 고의사고 다발지역 내비게이션 음성 경고 서비스 |
8월 이후 | 병의원 대상 교육용 콘텐츠 배포 |
연중 | 대형마트 스크린 광고, 인스타그램 카드뉴스, 웹툰 등 콘텐츠 다양화 |
📞 보험사기 신고 방법 한눈에 보기
신고 방법 | 상세 안내 |
☎ 전화 | 금융감독원 1332 → 4번(금융범죄) → 4번(보험사기) |
🌐 인터넷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 민원신고 → 불법금융신고센터 → 보험사기신고 |
📩 우편 | (07321)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38, 금융감독원 보험사기대응단 |
🏢 각 보험사 홈페이지 | 보험사기신고센터 운영 중 (보험사별 메뉴 확인) |
📌 참고: 보험사기 유도, 알선, 권유, 허위광고까지 모두 신고 대상입니다.
❗ 보험사기, 우리 일상 속에 가까이 숨어 있습니다
잘못된 유혹 | 진실 |
“입원 기간 늘리면 보험금 더 받아요” | ➝ 허위 입원은 명백한 보험사기 |
“진단서만 써드릴게요, 치료 안 받아도 돼요” | ➝ 의료기관 협조형 보험사기 |
“사고를 가장하면 쉽게 돈 받을 수 있어요” | ➝ 고의 사고, 형사처벌 대상 |
🚫 이런 제안을 받으면, 바로 ‘보험사기’라고 판단하고 신고하세요.
🔚 마무리: 보험사기, 유혹이 아닌 범죄입니다
보험사기 근절을 위해서는
법적 처벌뿐 아니라 국민 스스로의 인식 전환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 나 하나쯤 괜찮겠지?
→ ❌ 아닙니다. 보험사기는 전체 사회의 비용을 높이는 공공범죄입니다.
👉 지금 바로 주위에 알리고, 보험사기를 제안받았다면 금융감독원 1332 또는 온라인으로 신고하세요!
2025.07.02 - [사회 스토리] - 2025 소상공인 공공요금 지원 시행! 정책자금 분할상환·재난정보 수집까지 전면 개정 안내
2025 소상공인 공공요금 지원 시행! 정책자금 분할상환·재난정보 수집까지 전면 개정 안내
2025년 7월, 정부가 소상공인을 위한 제도적 보호 기반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7월 1일 국무회의를 통해 의결되며, 공공요금 직접 지원, 정책자금
seia1004.tistory.com
2025.07.04 - [사회 스토리] - 📘 본문: SK텔레콤 유심정보 2,696만건 유출…사고 원인과 정부 조치 총정리 (2025 최신)
📘 본문: SK텔레콤 유심정보 2,696만건 유출…사고 원인과 정부 조치 총정리 (2025 최신)
2025년 7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SK텔레콤에서 발생한 대규모 침해사고에 대한 최종 조사결과 및 정부의 후속 조치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고는 단순한 네트워크 오류가 아닌 국민의
seia1004.tistory.com
'사회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정부24 개편사항 총정리|혜택알리미부터 통합인증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3) | 2025.07.19 |
---|---|
🚗 “카시트 미착용 과태료 6만원!” 뒷좌석 안전벨트까지 꼭 해야 하는 이유 (3) | 2025.07.17 |
🔍 2025 대지급금 변제금 미납 사업주 자진납부기간 운영 안내|신용제재 피하려면 반드시 확인! (2) | 2025.07.15 |
2025 러브버그 대발생 원인과 대응 체계 총정리 – 환경부 대책과 방제 현장까지 (5) | 2025.07.11 |
2025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제도 총정리|예금보호·국가장학금·중소기업 기준까지 한눈에 확인! (5) | 2025.07.11 |